도메인 주소라고 한다면 어떤건지 알 수 있나요?
인터넷 주소라고 불리웁니다.
야! 네이버 주소 뭐였지?
아 네이버 www.naver.com 이지!
여기서 말하는 www.naver.com 이 도메인 즉 인터넷 주소입니다.
최근에 개인 스마트 스토어 및 개인을 표현하고 나만의 이름을 표현하고 연결할 수있습니다.

개인이 홈페이지를 들어가고자
blog.naver.com/juick2782 치게된다면 우선 네임서버에 정보를 보내고
네임서버에 저장된 홈페이지 주소를 불러오게 됩니다.
네임서버.. 뭐니.
bigju.co.kr을 쳤을때 이 주소를 어디에 보내야하나요? 를
해결해주는 서버입니다.
보통은 정상적인 도메인등록대행업체를 이용하여 등록하셨다면
해당 등록업체에서 서비스 되어지고 있습니다.

해당 도메인 또한 비아웹이라는 대행업체에서 서비스해주는 네임서버에 연결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blog.naver.com 를 치게 된다면?

우선 연결되어있는 네임서버에 질의를 할 겁니다.
blog.naver.com을 쳤는데 어디로 가야하나요? 하고말이죠

그렇다면 네임서버는
blog.naver.com ?
그거 저기로 가면된단다. 하고 네비게이션처럼 안내 해줄 겁니다.

그러면 안내를 받아 해당 홈페이지가 있는 서버를 반문 후 해당 페이지를 가지고
고객 PC에 보여주게 됩니다.
도메인 레코드 값은 뭔데..

도메인 레코드 값
즉 네임서버에서 설정된 값을 관리자 분께서 설정 해주시면 됩니다.
너가 나에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난 여기로 가라고 안내할꺼야!
라고 NAME-SERVER에 교육을 시켜주는 것 입니다.
레코드 값의 종류
A / MX / CNAME / SPF (TXT)
1. A 레코드 값
제일 많이 사용하는 레코드 값 입니다.
간단하게 해당 도메인을 특정 IP로 안내 해주는 역활입니다.

bigju.co.kr 같은 경우 총 3개로 연결되어있는데요
해석하면
auto.bigju.co.kr -> 125.209.222.132
bigju.co.kr -> 1.1.1.1
tistory.bigju.co.kr -> 27.0.236.139
이렇게 길을 안내 후 찾아가라고 하는 겁니다.

실제로 ping을 날려보면 해당 IP로 가고있는 겁니다.

지금 보시는 네이버 블로그 또한 특정 IP로 연결 되어있습니다.
2. MX레코드 값
메일을 사용할때 적용하는 레코드 값입니다.
A레코드가 특정 IP 연결 이였다면
MX는 메일에 특성을 띈 레코드 값입니다.
보통 저희가 메일을 보낼때
bigju@naver.com 처럼 사용하시게 되는데 이런 메일을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goole 이나 daum 에서는 개인 도메인 주소로 메일을 사용가능하게 서비스를 제공해줍니다.
잘 보시면 A레코드 값과 달리 IP가 아닌 또다른 도메인 주소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했기에 저기로 연결 해달라고 요청 하는 겁니다.
3. CNAME 레코드 값
이제는 CNAME 이니 하실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 드리자면 별칭 입니다.
너가 cname.bigju.co.kr을 요청했어? 너 별명 주소로 가!
마치 옛날 어릴때
제 이름이 아닌 별명 빅주! 하면 제가 알아듣고 뭐! 하는 느낌입니다.

설정된 값을 보시면
cname.bigju.co.kr -> auto.bigju.co.kr
naver.bigju.co.kr -> blog.naver.com/juick2782
viaweb.bigju.co.kr -> viaweb.co.kr
이렇게 별명을 지어주었습니다.
cname.bigju.co.kr 주소를 물어보면 별명인
auto.bigju.co.kr로 답해줄 것이며
cname.bigju.co.kr에 A레코드 값이 정해져있다면
연결된 서버를 호출 해 줍니다.
4. TXT / SPF 레코드 값
호스트나 서버, 네트워크, 기타 계정 정보 등등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임의의 텍스트 연계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리소스 레코드의 일종 값입니다.
또한 SPF 같은 경우 스팸 방지 기술로 위조 변조 여부를 사용할때 적용하는 인증에 사용되어집니다.

아니. 그런데 보니까 도메인 주소 앞에 www도 있고 auto도 있는데 다 사야하나요?
2차 도메인
보통 도메인을 동록하게 되면
naver.com
naver.net
naver.co.kr
naver.kr
naver.한국
등등 이렇게 1차 도메인으로 등록되어집니다.
뒤에 왜 달라여?
그건 다음에 안내 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bigju.co.kr 를 등록하게 되면
앞에
bigju.co.kr 앞에
a.bigju.co.kr
aa.bigju.co.kr
이렇게 앞에 붙여 사용하는 것을 2차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내가 홈페이지를 2개 제작했는데 해당 도메인에 등록하겠다.
그런데 하나는 1.1.1.1
하나는 2.2.2.2 에 있다?
도메인
|
레코드
|
값
|
bigju.co.kr
|
A
|
1.1.1.1
|
bigju.co.kr
|
A
|
2.2.2.2
|
이렇게 되면
bigju.co.kr 를 치게 되면 네임서버에서 2개를 안내하고 결국 충돌이 일어납니다.
물론 서버에서 버추얼 호스트 설정하여 연결 할 수 있으나
간단하게 레코드 값으로 정리 하게 된다면
도메인
|
레코드
|
값
|
www.bigju.co.kr
|
A
|
1.1.1.1
|
aaaaaaa.bigju.co.kr
|
A
|
2.2.2.2
|
이렇게 2차도메인을 이용하여 2개를 구분 설정 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각각 알아서 원하는 방향대로 안내가 가능합니다.
도메인 하나만 있다면 2차 도메인을 이용하여 여러 방면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도메인 주소 즉 인터넷 주소를 연결하는 레코드 값에 대하여 안내 드렸습니다.
처음 보시면 어려우시겠지만 좀 해보는게 어렵지 않습니다.
A 레코드는 특정 IP
MX 레코드는 메일
CNAME레코드는 별칭
TXT 레코드는 인증등 여러가지 이용
본인만의 도메인을 구매하시고 홈페이지로 연결해보세요!
티스토리, 네이버 모두등 연결 가능합니다
'도메인 > 플랫폼연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Gmail 개인 도메인 연결 하기 ( MX ) (0) | 2021.11.04 |
---|---|
구글 G Suite - Google Workspace 개인 도메인 연결 하기 ( TXT ) (0) | 2021.11.02 |
스마트워크 개인 도메인 연결하기 ( 다음 메일 ) (0) | 2021.11.01 |
Tistory(티스토리) - 개인 도메인 연결 ( 직접 연결 ) (0) | 2021.10.06 |
네이버 모두(modoo) 개인 도메인 연결 ( 직접 주소 연결 ) (0) | 2021.09.24 |
댓글